• [오피니언]성경의 신적 기원을 부정하는 철학(22) - 홍기범



  • 한국창조과학회
    홍기범 광주전남지부장


    종을 구분하는 방법(동물분류학회 편저, <동물분류학> 37쪽 참조 또는 인용)


    A. 형태학적 종(morphological species)

    찰스 다윈이 진화론을 발표하기 전에 활동했던 존 레이(1727-1705)와 칼 폰 린네(1707-1778)는 국지적(局地的)인 생물상(生物相)을 연구하였다. 그들은 생물 종(種; species)들은 변하지 않으며, 형태적(形態的)으로 충분히 구분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형태의 차이로 종을 구분하였다. 이렇게 구분한 종을 형태학적 종이라 한다.


    형태의 차이에 따라 종을 구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성적이형(性的二形; sexual dimorphism), 계절적 변이, 성장 과정에 따른 변이가 현저해도 같은 종으로 분류한다.


    성적이형(性的二形)은 암수의 형태가 다른 것을 말하며, 성장 과정에 따른 변이는, 애벌레와 나비, 올챙이와 개구리를 예로 들 수 있다. 만약 올챙이와 개구리가 화석으로만 발견된다면 다른 종으로 잘못 분류할 수도 있을 것이다. 


    B. 생물학적 종(biological species)             
    Mayr(1953) 등은 “종은 실제로 (또는 잠재적으로) 교배하는 자연집단으로 이루어지는 군(群; group)인데, 이것들은 다른 (이와 같은) 군들과 생식적으로 격리되어 있다”고 하였다.


    Mayr 등은 형태적으로 종을 구분할 때 생기는 불명확성과 곤란한 점을 감안하여, 종을 구분하는 데 생식적 격리를 기준으로 하자는 것이다. 그는 이와 같이 정의하는 종을 생물학적으로 정의하는 것이라 하여 형태학적(形態學的) 종에 대하여 생물학적(生物學的) 종이라 하였다. 종을 생식적격리(生殖的隔離; Reproductive Isolation)를 기준으로 하여 구분하는 것은 확실히 객관성이 있어 보이며, 생물학적 종의 정의는 이상적이다. 이를테면 A라는 동물군(動物群)과 B라는 동물군은 서로 생식적으로 격리되어 있다면 서로 다른 종이고 그렇지 않다면 같은 종이다. 그런데, 실제로는 생식적 격리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특수한 경우(이를테면 교배실험이 가능하든가 자연계에서 구체적인 관찰이 가능할 경우)를 제외하면 거의 불가능하다. 분류학(分類學)의 연구대상이 되는 표본(標本)은 대부분의 경우 죽은 것이고 그 수가 적은 때가 많아, 생식적으로 격리 여부를 판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특히 화석종(化石種)의 경우는 더욱 그렇다. 따라서 형태적 차이 혹은 기타 증거로써 생식적 격리를 추정할 수밖에는 도리가 없다. 종 사이의 생식적 격리도 진화과정에서 이루어져 가는 것이기 때문에 생식적으로 완전히 격리되어 있지 않은 중간상태(中間狀態)의 것도 있기 때문이다.


    C. 진화학적 종(evolutionary species)             
    생물학적 종 개념에 시간적인 요소를 포함하여 진화학적 종의 개념을 수립하고, 진화학적 종이라 하여 다음과 같이 종을 정의하였다. (필자 주: 진화론 자체가 허구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내용을 기술하는 것은 의미가 없으므로 생략함)

  • 글쓴날 : [21-10-08 13:51]
    • 김주안 기자[honamcn@hanmail.net]
    • 다른기사보기 김주안 기자의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