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저자 윤 기
전) 목포공생원 원장
공생복지재단 회장
- 1942년 목포 출생
- 중앙신학교(現 강남대학교) 사회사업학과를 졸
- 아동복지시설「목포공생원」의 원장
- 정신지체장애인시설「공생재활원」을 설립
-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부회장‧회장(1987年~2001年)을 역임
- 1989년 일본 최초의 재일동포를 위한 노인복지시설「고향의 집」을 건립
- 1978년 제22회 소파상등 수상다수
- 현재 일본 사회복지법인「마음의 가족」이사장
- 저서는《김치와 우메보시》, 역서는《괴짜총리 고이즈미, 흔들리는 일본》 《고령사회 이렇게 살아보세》가 있다.
|
공저자 윤문지(타우치 후미애)
공생복지재단 이사장
-1949년 일본 오사카 출생
- 쿄토 도시샤(同志社)대학 사회복지학과를 졸
- 1972년, 한국 목포로 건너와 목포공생원 생활지도원 역임
- 현재 일본 사회복지법인「마음의 가족」 이사, 사회복지법인 윤학
자공생재단 이사, 사회복지법인 공생복지재단 이사장으로 활동,
-제3회 여성휴먼다큐멘터리 대상에《양이 한 마리》로 입선
- 1982년《나도 고아였다》로 일본 크리스천신문 제5회 아카시문학상 최우수상을 수상 |
선생님이 다가오셨다.
“반성했나?”
입이 열리지 않았다.
“대답 안 하면 안 보낸다. 너 혼자 남겨두고 문 잠가버려도 좋아?”
햇볕에 시커멓게 그을린 곽 선생님의 얼굴이 나에겐 마치 독사처럼 보였다. 이윽고 선생님은 음성을 가라앉혀 타이르듯 말씀하셨다.
“너는 머리가 나쁜 놈이 아니야. 선생님이 일을 맡길 테니 해 볼래?”
불안한 눈길로 선생님을 올려다봤다.
“학교 주변의 인가를 돌아다니며 짬밥을 얻어오는 거다. 앞으로 한 달간 매일 방과 후에 하거라.”
나는 선생님의 분부를 따르기로 했다.
곽 선생님은 학교에서 기르는 돼지 사육을 담당하고 계셨다. 사료를 사기 어려운 형편이기 때문에 학교 주변에 부탁하여 짬밥을 얻어다 키우고 있었다. 학교 주변에 있는 옛날 일본식 가옥은 얼마나 넓은지 아무리 대문을 두드려도 사람이 나오질 않았다.
“계십니까?”
고함을 질러도 인기척이 없다. 나는 계속해서 불러댔다.
모두 기름진 얼굴에 고급스러운 옷을 입고 있었다. 문을 들어서니 훌륭한 현관이 보였다. 뜰에는 값이 상당히 나갈 듯한 근사한 수석과 정원수가 빽빽이 심겨 있었다. 학교에서 왔다고 하자 “너 같은 꼬마가 어떻게” 하고 중얼거리며 짬밥을 건네주었다.
허기진 나에게는 그것이 바로 훌륭한 음식처럼 느껴졌다. 냄새만 맡아도 군침이 돌았다.
길거리로 나온 나는 좌우를 살피고 얼른 한 입 집어 먹었다. 맛있었다. 공생원 친구들에게 나눠주고 싶었다. 여태껏 먹어본 적도 없는 음식에 게걸스레 달려들 그들의 얼굴이 떠올랐다. 그러나 왠지 부끄러웠다. 어쨌든, 돼지에게 먹일 짬밥을 사람이 먹는 것이므로….
이 짬밥 수거는 한 달간 계속되었다.
마지막 날 곽 선생님은 말씀하셨다.
“잘해 주었다. 너도 얼마든지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는 걸 알았겠지? 그런 마음으로 이제 공부를 하는 거다. 하면 된다는 사실을 모두에게 보여주어라.”
이 일이 있고 난 뒤 나는 변했다. 공부도 하기 시작했다. 좀처럼 진척되지 않았지만 인내하는 법을 배웠다. 특히 역사에 흥미를 느껴 역사책은 거의 탐독하다시피 했다. 신라가 고구려를 침공한 사실(史實)에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때때로 소등 시간이 지난 후에도 책을 펼쳐 읽었다. 범석 형이 놀라서 한마디 했다.
“야, 기야! 너 학자가 돼서 뭐 할래? 그렇게 공부만 하고 언제 놀아?”
그러면서도 나는 가끔 어머니 괴롭히는 일을 그치지 않았다. 많은 원아들에게 먹일 식량이 부족하여 고민하는 어머니의 얼굴을 볼 때 오히려 어머니가 부질없는 일을 하는 것 같아 못마땅했다.
“왜 어머니는 일본 사람은 다 가진 저 큰 저택 하나도 차지 못했어요?”
“왜 어머니는 맛있는 음식도 맘껏 먹지 못해요?”
어머니는 한마디 답변하는 법이 없었다. 그저 묵묵히 듣고 계실 뿐이었다.
메이호그 여사의 선물
저녁 식사 시간 전,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축구 시합을 하고 있을 때였다. 운동장 옆의 사무실 건물이 시끌시끌했다.
“그래! 사회사업하는 사람은 아이를 이 꼴로 키워도 되는 거예요? 예수쟁이가 남의 물건을 훔치다니 말이나 됩니까? 원장님! 잠자코 있지만 말고 뭐라고 한마디 하셔야 할 것 아니에요?”
고갯마루의 고구마밭 주인아주머니가 두 눈을 치켜뜨고 어머니께 달려들고 있었다. 어머니는 언제나처럼 큰 죄를 지은 사람 모양 고개를 떨구고 계셨다.
“모두 제가 부족한 탓입니다. 용서하세요.”
연신 머리를 조아리며 그저 사죄만 하는 어머니.
초등학교 5학년생인 길용이가 학교에서 돌아오는 길에 아주머니 밭에서 고구마를 슬쩍한 모양이었다. 오늘은 그냥 두지 않겠다고 잔뜩 벼른 아주머니는 녀석을 잡으러 쫓아다녔지만, 워낙 원숭이처럼 잽싼 녀석이라 붙잡지 못하고 그 길로 노발대발하여 어머니에게 달려온 것이다.
원아들은 유달산 너머에 있는 시내 학교에 통학하고 있었다. 점심이라야 죽 한 그릇이 전부. 친구들은 도시락을 싸 와 먹는데 그 시간이면 우리는 죽을 먹기 위해 고개를 왕복해야 했다. 그 때문에 수업이 파할 무렵에는 허기가 져 길용이뿐 아니라 원생 모두가 고갯마루의 고구마를 실례하고 있었다.
그저 용서를 빌고 있는 어머니에게 아주머니는 흥분을 가누지 못하고 달려들었다. 그때까지 호기심을 갖고 구경하던 원아들은 더는 가만히 보고만 있을 수 없었다. 그때 중간에서 말리고 있던 형이 아주머니를 떠밀며 짧게 외쳤다.
(다음 27회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