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재완 목사 영암벧엘교회 한국신학목포분교 교수 |
1755년에는 이미 영국 안에 15개 이상의 모라비안의 형제단이 설립되어 있을 정도로 영국에서의 복음적 각성운동에 끼친 영향은 지대했다. 그후 그는 비록 모라비안과 결별했으나 그의 전 생애를 걸친 사역에서 이들로부터 받는 경건주의적 감화와 선교에의 열정 그리고 신앙 소공동체는 웨슬리의 선교 전략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이어짐 속에서 필립 스페너의 “안으로부터의 교회 개혁”과 진젠도르프의 선교적 열정이 함께 어우러져 마침내 웨슬리에게서 적극적으로 조직되고 활성화되어 신앙 소공동체 운동의 한 형태인 “작은 교회 운동”이 시작되었다. ‘작은 교회’를 통하여 웨슬 리가 품었던 비전은 다분히 복음을 가지고 인간을 구원하고 나아가 그 시대 영국교회의 갱신과 함께 진정한 복음전파를 위헌 선교 전략이었으며, 동시에 복음을 가지고 부패한 영국사회를 치유하고 회복시키는 사회구원을 통하여 전인적인 구원을 추구하는 사회선교를 실천하였다.
웨슬리의 구원관과 신앙관을 주로 개인구원, 개인복음, 개인선교 차원에서만 보아왔던 관점을 기본적인 전제로 6장에서 필자는 요한 웨슬리에게서 찾아볼 수 있는 사회구원, 사회복음, 사회 선교적인 관점을 서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웨슬리는 총체적인 구원을 믿었고, 통전적인 복음을 전했으며, 통합된 선교관을 가지고 있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제 웨슬리의 “교회 안의 작은 교회”안에 나타나 있는 웨슬리의 독특한 선교 전략들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1) 신도회의 선교 전략
(1)전도
웨슬리에게 있어서 복음전도의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사실상 노상설교(야외설교)로서 감리회 초기 역사에서는 이 노상설교가 결국 신도회에 가입한 사람들과의 첫 번째 만남의 기회로서 매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신도회’는 급증하는 회심자들을 훈련시키며 경건생활을 하려는 사람들이 서로 도와 구원의 성취를 목적으로 기도하고 권면의 말씀을 받으며, 사랑 가운데 서로 깨우치고 격려하는 모임이었다. 그리고 나아가서 성령의 증거를 통하여 진실한 믿음으로 사랑을 실천하도록 하며, 선교에 참여시키는 모임이었다.
웨슬리는 이처럼 철저히 전도를 중심으로 한 영혼의 구원에 초점을 두고 사였하였다. 이는 그 시대를 지배하고 있던 타락과 신앙의 불이 꺼진 심각한 신앙적 상황 속에서 다분히 선교적 목적으로 조직된 모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