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상련 목사 목포주안교회 |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기업으로 주어 차지하게 하실 땅에 네가 들어가서 거기에 거주할 때에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주신 땅에서 그 토지의 모든 소산의 맏물을 거둔 후에 그것을 가져다가 광주리에 담고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그의 이름을 두시려고 택하신 곳으로 그것을 가지고 가 그 때의 제사장에게 나아가 그에게 이르기를 내가 오늘 당신의 하나님 여호와께 아뢰나이다 내가 여호와께서 우리에게 주시겠다고 우리 조상들에게 맹세하신 땅에 이르렀나이다 할 것이요 제사장은 네 손에서 그 광주리를 받아서 네 하나님 여호와의 제단 앞에 놓을 것이며 너는 또 네 하나님 여호와 앞에 아뢰기를 내 조상은 방랑하는 아람 사람으로서 애굽에 내려가 거기에서 소수로 거류하였더니 거기에서 크고 강하고 번성한 민족이 되었는데 애굽 사람이 우리를 학대하며 우리를 괴롭히며 우리에게 중노동을 시키므로 우리가 우리 조상의 하나님 여호와께 부르짖었더니 여호와께서 우리 음성을 들으시고 우리의 고통과 신고와 압제를 보시고 여호와께서 강한 손과 편 팔과 큰 위엄과 이적과 기사로 우리를 애굽에서 인도하여 내시고 이곳으로 인도하사 이 땅 곧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을 주셨나이다 여호와여 이제 내가 주께서 내게 주신 토지소산의 맏물을 가져왔나이다 하고 너는 그것을 네 하나님 여호와 앞에 두고 네 하나님 여호와 앞에 경배할 것이며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너와 네 집에 주신 모든 복으로 말미암아 너는 레위인과 너희 가운데에 거류하는 객과 함께 즐거워할지니라.”(신명기 26:1~11)
과거에는 보리를 추수한 후 맥추감사주일을 성대하게 지켰지만 농경사회가 산업사회로 바뀌면서 그 의미가 점점 퇴색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맥추감사주일은 계속 지켜야 합니다. 참고로, 맥추감사주일은 이스라엘이 가나안 땅에 정착해서 첫 열매를 드리며 감사한 일에서 유래했는데, 이스라엘은 자신들이 선택받은 것과 큰 민족으로 번성하게 된 것과 노예생활로부터 구원받은 것과 가나안에 정착하게 된 것과 첫 열매를 드리게 됨을 감사하면서 그 감사예물을 제단 위에 드렸습니다.
첫째, 자녀로 선택받음을 감사해야 합니다.
이스라엘은 첫 열매를 드릴 때마다 민족의 기원을 회상하면서 감사했습니다. 즉 소수의 가족을 택하셔서 큰 민족을 이루게 하심을 감사했던 것입니다. 우리도 하나님의 자녀로 선택받은 것에 대해서 감사하고 또 감사해야 할 것입니다(신명기 26:4~5, 요한복음 15:16)
둘째, 구원의 은혜를 감사해야 합니다.
이스라엘은 애굽의 학대로부터 건짐 받은 것을 감사했습니다. 즉 사백여 년 동안 애굽인들의 착취와 고된 노동, 민족말살 정책 아래에서 신음했지만, 하나님의 은혜로 출애굽하여 구원받은 것에 대해서 감사한 것입니다. 감사의 기초는 구원받은 은혜에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입니다(신명기 26:8)
셋째, 수확의 은혜를 감사해야 합니다.
이스라엘은 수확으로 인해 감사했습니다. 즉 추수한 보리의 첫 열매를 드리면서 감사했으며, 또한 예배를 돕는 레위인들 등과 함께 곡식을 나누면서 감사했던 것입니다. 그러니 우리도 수고의 열매로 인해 하나님 앞에 감사하고 또 감사해야 할 것입니다(신명기26:10).
말씀을 적용합시다.
맥추감사주일을 맞아 감사를 회복할 수 있기를 원합니다. 즉 하나님의 자녀로 선택받은 것에 대해서 감사하기를 원하고, 구원받은 은혜에 대해서 감사하기를 원하며, 수고의 열매로 인해 감사하기를 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