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재완 목사 영암벧엘교회 |
웨슬리는 교회 이해에 있어서“순전한 하나님의 말씀이 선포되고 성례전이 바르게 실행되는 것”을 실제적으로 그리고 기능적으로 이해하였다. 웨슬리의 관심은 성서적 교회의 비젼으로서‘참된 신자들의 거룩한 공동체’ 즉,‘ 참된 그리스도의 교회’를 추구하는 것이었다. 그는 당시의 영국교회가 많은 부분에서 타락했으며, 참된 교회는 그 나라에 흩어져 있는 참된 신자들의 작은 모임이라고 보았다. 그는 메소디스트 신도회가 많은 부분에서 영국 국교회 안에 있는‘참된 가시적 교회’라고보았지만 모든 메소디스트가 참된 신자들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웨슬리는 메소디스트의 복음전도운동의 목적이 영국교회를 참된 교회로 개혁하는 것과 민족을 개혁하려는 것(to reform the nation), 그리고“성서적 성결(biblical holiness)을 온 땅에 전파하는 것”(to spread scriptural holiness throughout the land), 이러한 사명을 실행하기 위한‘복음적 기구’(evangelical order)라고 인식하였다. 웨슬리는 1755년 동료 목사 워커(Samuei Walker)에게 메소디스트들의‘불규칙한 활동’을 변호하는 내용의 편지에서, 메소디스트 신도회는영국교회 내에 있는 복음적 기구이며, 그 신도회의 활동은 복음 전도와 훈련과 양육이라는 복음적 사역을 실행하는‘기능’이라고 주장하였다.
웨슬리는 메소디스트의 정체성은“더욱 실천적 종교(practical religion)를 위한 기구”가 되려는 데 있음을 강조하였다. 웨슬리가 이해했던 교회의 본질은 제도와 형식보다는 내용과 기능면에 있었다. 웨슬리는 모든 면에서 교회는 영혼을 구원하고 양육하는 사역으로서, 즉 선교적 행동으로 정의하였다. 교회란 말씀이 바르게 선포되고(복음전도: evangelism), 성례전이 집행되며(예배: worship), 말씀이 바르게 들려지고 성례전이 바르게 받아지는(훈련: discipline)‘ 신자들의 공동체’이다. 이것이 웨슬리가 추구했던 기능적 교회론의 본질이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메소디스트 신도회는 복음 증거(witness)와 예배(worship), 그리고 훈련(discipline)과 양육(nuture)이라는 복음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했던 영국교회 안에 있는 복음적 기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