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저자 윤 기
전) 목포공생원 원장
공생복지재단 회장
- 1942년 목포 출생
- 중앙신학교(現 강남대학교) 사회사업학과를 졸
- 아동복지시설「목포공생원」의 원장
- 정신지체장애인시설「공생재활원」을 설립
-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부회장‧회장(1987年~2001年)을 역임
- 1989년 일본 최초의 재일동포를 위한 노인복지시설「고향의 집」을 건립
- 1978년 제22회 소파상등 수상다수
- 현재 일본 사회복지법인「마음의 가족」이사장
- 저서는《김치와 우메보시》, 역서는《괴짜총리 고이즈미, 흔들리는 일본》 《고령사회 이렇게 살아보세》가 있다.
|
공저자 윤문지(타우치 후미애)
공생복지재단 이사장
-1949년 일본 오사카 출생
- 쿄토 도시샤(同志社)대학 사회복지학과를 졸
- 1972년, 한국 목포로 건너와 목포공생원 생활지도원 역임
- 현재 일본 사회복지법인「마음의 가족」 이사, 사회복지법인 윤학
자공생재단 이사, 사회복지법인 공생복지재단 이사장으로 활동,
-제3회 여성휴먼다큐멘터리 대상에《양이 한 마리》로 입선
- 1982년《나도 고아였다》로 일본 크리스천신문 제5회 아카시문학상 최우수상을 수상
어머니는 걱정스레 타일렀으나 사실 그렇게 말해 주는 아이들이 곁에 있다는 사실이 얼마나 위안이 되었는지 모른다.
어머니는 아이들과 함께 시청에 가보았으나 헛걸음이었다.
“안 됐군요. 이사회의 결정은 이미 법적(法的)인 효력을 지니게 됐습니다. 부인에겐 안 된 얘기지만 이승만 대통령께선 아직 일본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저희로선 어쩔 수가 없습니다.”
당연한 이야기였으나 어머니에게는 야속하도록 사무적인 답변이었다. 시청을 나와 공생원의 이사 댁을 찾아가는 어머니와 아이들의 발길은 무거웠다. 그러길 일주일. 이사들의 답변은 판에 박은 듯 한결같았다.
“이미 결정이 난 사실입니다. 부인의 생활비는 보조해 드리겠습니다.”
어머니는 희미하게나마 걸어온 기대가 무너지는 소리를 들었다. 더는 움직일 기력도 없었다. 그 자리에서 쓰러지면 그대로 영원히 일어나지 못할 것 같았다.
재균 형이 어머니의 이상을 느끼고 재빨리 부축했다.
“어머니, 제 등에 업히세요. 제가 업고 갈게요.”
그러나 아이들에게 나약한 모습을 보일 수는 없었다. 간신히 입을 열어 말했다.
“재균아, 엄마 손 좀 잡아다오.”
이 아이들과 함께
얼마나 걸었을까? 고개 쪽에서 “어머니이-” 하고 부르는 소리가 들려 왔다 어둠이 깔린 산마루 저편에서 목소리의 주인공이 달려왔다.
“삼주 아니니? 대범이도?”
어머니는 의아한 눈빛으로 그들의 손을 잡았다.
“너희들 원장 선생님께 허락받고 나왔니?”
“그 사람이 무슨 원장이에요? 나쁜 사람이에요. 저희는 이제 돌아가지 않을 거예요. 어머니랑 살래요. 어머니가 좋아요.”
“어머니가 좋아요”란 한마디. 이 한마디가 온갖 시름을 덜어주는 것 같았다.
“하지만 너흰 돌아가야 한다. 선생님들이 걱정하셔.”
“어머니, 우리 집은 공생원이에요. 유달원 따윈 우리 집이 아니에요.”
대범이가 울먹이기 시작했다. 동주도, 정철 형도, 죽 둘러선 20여 명의 아이들까지 일제히 울음을 터뜨렸다.
석양은 이미 기울어 있었다.
아이들을 이 어두운 길로 보낼 수는 없었다.
“그럼 하룻밤만이다. 내일 아침엔 일찍 돌아가야 해. 원에서 걱정하고 계실 테니까.”
어머니는 아이들에게 둘러싸여 공생원으로 돌아왔다. 이튿날 아침 사 목사가 찾아왔다.
어머니는 두근거리는 가슴을 누르며 흰 저고리 깃을 여미고 밖으로 나갔다.
사 목사는 격분한 나머지 거의 자제력을 잃고 있었다.
“여자면 여자답게 굴어야지. 말 좀 삼가시오. 내가 부인의 사업을 가로챘다니요? 친구 부인이라 이제껏 정중히 대접해 왔더니만 못된 말이나 퍼뜨리고 다니다니. 저도 더는 용서 못 합니다. 그래 아이들을 어쩔 셈으로 데려갔습니까? 그 아이들이 일본 아이들입니까? 한국 아이요, 한국 고아!”
흥분을 가누지 못한 사 목사는 순간 어머니의 뺨을 후려쳤다. 안경이 떨어졌다. 느닷없는 사태에 어머니는 망연자실하여 눈물이 핑글 돌았다. 어머니는 곧 냉정함을 되찾았다.
“제가 데려온 게 아닙니다. 저 아이들이 자진해서 돌아온 겁니다. 시청을 방문하고 이사님들을 만난 것은 사실입니다. 아내가 지아비의 뜻을 지키는데 어찌 일본인과 한국인 구별이 있겠습니까?”
남편이 행방불명된 이래 오늘까지 참아왔던 슬픔과 분노가 목사의 폭력 앞에서 폭발한 것이다. 어머니는 정색하며 맞섰다.
심상치 않은 공기를 느낀 원아들이 몰려왔다.
“어머니, 왜 그러세요?”
범치 형이 쓰러져 우는 어머니를 끌어안았다.
“또 한 번 어머니께 손을 댔다간 가만 안 둘 거예요. 아무리 목사라도 우리 어머니에게 손찌검하는 건 용서 못 해요. 모두 자기 집으로 돌아온 것뿐이에요. 어머니에게는 아무 책임도 없어요.”
금방이라도 달려들 듯한 기세였다.
범치 형의 위세에 눌린 것일까? 사 목사는 말없이 물러갔다. 사라져 가는 목사의 뒷모습을 바라보는 아이들의 눈은 증오심으로 이글거렸다.
이때부터 공생원의 제2, 제3숙사와 220명 아이들과는 영영 이별하고 말았다 어머니에게 남겨진 거라곤 제1숙사와 부모 없는 아이들, 그리고 유달원을 뛰쳐나온 이십여 명의 아이들뿐이었다.
(다음 16회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