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저자 윤 기
전) 목포공생원 원장
공생복지재단 회장
- 1942년 목포 출생
- 중앙신학교(現 강남대학교) 사회사업학과를 졸
- 아동복지시설「목포공생원」의 원장
- 정신지체장애인시설「공생재활원」을 설립
-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부회장‧회장(1987年~2001年)을 역임
- 1989년 일본 최초의 재일동포를 위한 노인복지시설「고향의 집」을 건립
- 1978년 제22회 소파상등 수상다수
- 현재 일본 사회복지법인「마음의 가족」이사장
- 저서는《김치와 우메보시》, 역서는《괴짜총리 고이즈미, 흔들리는 일본》 《고령사회 이렇게 살아보세》가 있다.
|
공저자 윤문지(타우치 후미애)
공생복지재단 이사장
-1949년 일본 오사카 출생
- 쿄토 도시샤(同志社)대학 사회복지학과를 졸
- 1972년, 한국 목포로 건너와 목포공생원 생활지도원 역임
- 현재 일본 사회복지법인「마음의 가족」 이사, 사회복지법인 윤학
자공생재단 이사, 사회복지법인 공생복지재단 이사장으로 활동,
-제3회 여성휴먼다큐멘터리 대상에《양이 한 마리》로 입선
- 1982년《나도 고아였다》로 일본 크리스천신문 제5회 아카시문학상 최우수상을 수상 |
“밧줄을 단단히 붙들어 매.”
철이 형이 맨 먼저 밧줄을 잡아 뱃머리에 묶었다. 늘 개구쟁이 짓만 일삼던 철이 형이었지만 믿음직스럽기 그지없었다.
우리는 밤 10시가 넘어서야 겨우 공생원에 도착했다. 가족들은 애를 태우며 걱정하고 있었다.
원장 아들
유달산 능선을 따라 노란 개나리 꽃망울이 부푸는 봄이 찾아왔다.
초등학교 5학년생인 나는 저녁 식사 시간까지 잠시 원의 같은 또래 아이들과 도깨비불 놀이에 열중하고 있었다.
철이 형이 놀려대는 바람에 사소한 일로 말다툼이 벌어졌다.
“쪽발이 주제에!”
“뭐? 내가 왜 쪽발이야?”
“그렇담 그런 줄 알아. 너 말야, 네 어머니가 쪽발이니까 너도 쪽발이 아냐?”
“아냐 어머니는 쪽발이가 아냐.”
“건방진 녀석”
하고 내뱉는가 싶더니 갑자기 철이 형의 주먹이 얼굴로 날아 들어왔다.
“원장 아들이라고 잘난 척하지 마.”
으름장을 놓는 철이 형의 얼굴에는 일종의 증오감마저 감돌았다.
그러나 그 무렵 나를 쪽발이라고 부르는 건 비단 철이 형만이 아니었다. 일본인을 멸시해서 부르는 쪽발이란 말이 나는 몸서리치도록 혐오스러웠다.
저녁 식사 후 운동장 구석에서 용변을 보고 있을 때도 그랬다. 삼주의 큰 목소리에 움찔했다.
“쪽발이 이리 와봐. 시키는 대로 하면 때리진 않는다.”
또 창고에서 쌀을 훔쳐 오란 주문인가 보다. 그들은 선생님께 들켜도 야단맞지 않게 항상 원장 이들인 나를 앞잡이로 부려먹었다. 죽기보다 싫었다 하지만 마음과는 달리 삼주가 있는 곳에 종종걸음으로 다가갔다.
“쪽발이, 그거 좀 보자.”
“그거? 뭘 말이야?”
“인마, 척하면 알아들어야지. 고추 말야, 고추.”
억지였다. 나는 반사적으로 큰소리로 대항했다.
“싫어.”
“자식, 말 안 들으면 어떻게 되는지 잘 알지?”
나는 가슴이 철렁했다. 수치스러운 나머지 얼굴 근육이 굳어지는 것 같았다. 기어들어 가는 목소리로 말했다.
“한 번만이야.”
삼주를 중심으로 형들이 나를 빙 둘러쌌다. 나는 팬티를 내렸다.
“뭐야? 쪽발이 고추도 똑같잖아. 우리 거랑 다를 줄 알았는데.”
업신여기듯이 킬킬 웃어댔다.
삼주는 나보다 다섯 살이 위였는데 툭하면 주먹을 휘둘렀다. 분했지만 꼼짝없이 당할 수밖에 없었다.
이런 수모를 당할 적마다 내가 왜 쪽발이라고 놀림을 당해야 하는지, 또 언제까지 이런 형들과 같이 생활해야 하는지 불만이 이만저만 아니었다. 나를 고아들 속에 넣어두고 매일 일에 묻혀 사시는 어머니가 언젠가 한 번 본때를 보여주리라 벼르고 있는 형들보다 더 밉게 느껴졌다.
“네 어머니는 일본인이기 때문에 여기서 살지 못해. 곧 추방될지 모른다구.”
빈정거리는 듯한 철이 형의 말투에 나는 더는 참을 수가 없었다. 그날 밤 나는 어머니에게 다그치듯 물었다.
“어머니 어머니가 쪽발이에요?”
하곤 그만 울음을 터뜨리고 말았다.
“울지 마라. 누가 그런 소릴 하더냐?”
심각한 얼굴로 어머니는 내 어깨를 감쌌다.
“모두 다 그러던데? 어머니가 쪽발이기 때문에 머잖아 일본으로 강제 귀국할 거라고요. 정말이에요? 어머니, 정말 추방당하는 거예요?”
“무슨 소리. 그런 일은 없을 거야. 뭐 때문에 엄마가 추방되겠니? 엄마는 말이야, 죽을 때까지 여기서 살 거란다.”
어머니의 목소리는 평소처럼 가라앉아 있었다. 그러나 어머니도 자신이 일본 여자란 이유로 마을 사람들의 입방아에 오르고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손가락질받은 것이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었다. 냉정하게 대처하고자 마음먹지만, 자식들의 장래를 생각할 때 조급한 마음이 드는 것만은 어쩔 수 없었다.
(다음 22회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