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기독논단] ‘신록의 계절에 찬송을 회복하자!’

김근열 목사
본지주필
군남반석교회담임 목사







일본 예술의 대중 연극을 하는 가부키가 있다. 이 연극은 남자들만 나오는데 물론 여자역도 남자가 다 맡는다. 가부키가 여러 장으로 구성된 다른 연극과 똑같다. 장과장 사이에 막간극을 한다고 한다. 물론 짧은 극이다. 17세기 이치가와단주로 라는 가부키 배우가 제일 잘 나가는 막간극 18가지를 정리했다. 218가지 중에서 18번째가 가장 재미있었다고 한다. 그것이 우리나라에 흘러들어와 우리나라 노래방에서 애창곡이라는 뜻으로 18번이 무엇이냐? 라고 말하고 있다. 노래방의 유래는 1976년 일본 오사카에 있는 노래하는 주점에서 일하는 사람에 의해 발명이 되었다. 당시 음식점 사장의 노래 반주를 녹음해 준 것이 노래방 기계의 원조이며 큰 인기를 얻게 되자 다른 노래들도 반주를 녹음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반주 테이프를 하나하나 갈아 줘야 했는데 기술이 발달해서 곡들을 입력해 노래방은 선원들이 연주용 기계를 배안에 놓고 부르기 시작한 것이 시초가 된다. 우리나라 최초의 노래방은 19914월 부산 동아대앞 로얄전자오락실에 있던 300원정도의 코인 노래방이 그것이다. 1988년 영풍전자가 세계최초로 컴퓨터 전용 음악연주의 개발에 성공했다. 이어 부산 로얄전자 도움으로 자막기가 개발되면서 영상과 가사가 나오는 현재 기기의 첫 모델이 탄생했다. 19915월 부산의 광안리 해수욕장 하와이비치 노래 연습장이 생긴 것이 한국 최초의 노래방이다. 불과 1년만에 1만개의 업체가 등장할 정도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