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독자의숨결]이재완 목사의 [존 웨슬리의 “작은 교회” 운동] ⑥




이재완 목사
영암벧엘교회


그 다음으로 리처드 조이(James Richard Joy)는 John Wesley’s Awakening에서 웨슬리의 소그룹인 신도회, 속회, 조, 선별신도회 및 그 리더들에 대해 상세하게 언급하면서 웨슬리는 그의 선교와 사역의 필요에 따라 독특한 조직들을 고안했음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그의 조직 안에서 언약 예배와 애찬회 등 감리회의 독특한 예배 형식들을 개발하여 영적 훈련에 적용한 것에 극찬하였다.


1940년대 저술들은 웨슬리를 종교개혁적인 배경에서 연구한 색채들이 강하다. 그 중에 헤럴드 린드스트룀(Harold Lindström)의 Wesley and Sanctification(1946)은 구원론에 있어 특히 성화론을 중점적으로 연구했다. 그런데 웨슬리의 신앙운동의 요체는 구원에 있으며, 나아가 이 성화사상은 웨슬리의 소그룹 운동이 추구하였던 중심 진리이며,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성화를 통한 성숙한 신앙으로 성장할 때 성숙한 교회가 가능함을 강조하였으므로 웨슬리의 ‘작은 교회’운동을 연구하는데 기초 자료가 된다.


1950년대의 저술들은 대체로 웨슬리를 다른 신학자들과의 관계성의 관점(Perspective)에서 심도 있게 연구되었다. 이를테면, 헨리 카터(Henry Carter)는 The Methodist Heritage(1951)에서 메소디스트 운동(Wesley and Methodist Movement)이 에큐메니칼 운동과 관련성이 있음을 주장하였고, 힐데브란트(Franz Hildebrandt)는 From Luther to Wesley(1951)에서 웨슬리가 종교개혁자 마틴 루터와 깊은 연관성이 있으며, 그는 교회 안의 작은 교회”를 통해 교회 개혁을 주도하고자 했음을 밝혔다. 특히 그는 웨슬리가 저 유명한 올더스게이트 (Aldersgate)에서 회심을 경험할 때가 그날 밤 예배에 참석했던 한 청년이 읽었던 루터의《로마서 주석》서문을 통해서였음을 언급하였다. 더 나아가 그는 웨슬리가 루터의 신학사상을 직접적으로 영향받은 설교들9)을 부각시켜서 루터와의 관계를 강조하였다. 그런 의미에서 웨슬리를 종교개혁(Reformation)의 연장선상에 서 있는 신학자로 보았다. 이렇게 웨슬리는 그의 신학과 종교개혁의 신학을 창의적으로 종합한 탁월한 신학자였음을 알 수 있다.


또 하나의 연구서는 클리포드 타울슨(Clifford W. Towlson)의 명저인 Moravian and Methodist(1957)에서 웨슬리 당시의 소그룹 운동에 영향을 준 모라비안의 역사와 특히 교제 가운데 있었던 모라비안과 메소디스트, 그리고 모라비안(Moravian)에 기여한 메소디스트(Methodist)의 공헌과 메소디스트에 공헌한 모라비안의 문제들을 심도 있게 다룬 저술이다.


그 다음으로, 1960년대의 저술들을 보면 보다 더 활발한 연구들이 일어났는데 먼저, 스타키(Lycurgus M. Starkey)는 The Work of theHoly Spirit : A Study in Wesleyan Theology(1962)에서 에큐메니칼 신학(Ecumenical Theology)의 난제와 문제점들을 웨슬리의 성령론으로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는 주장과 함께 에큐메니칼 선교에 대한 새 지평을 제시하였다.


특히 콜린 윌리암스(Colin W. Williams)는 John Wesley Theology Today(1960)에서 교회의 본질을 언급하면서 웨슬리는 “교회 안의 작은 교회”를 통하여 교회의 본질인 성도의 교제와 교제에 탁월했던 초대 기독교를 대변하면서 나아가 이 ‘작은 교회’가 성서적 경건성을 확립할 수 있었음을 확신했다고 지적하면서 웨슬리의 전략을 부각시켰다.


특히 웨슬리의 신학을 오늘날에 재평가하는데 결정적인 공헌을 한 학자로 평가되는 아우틀러(William C. Outler)는 John Wesley(1964)에서 웨슬리를 그 시대의 대중을 향하여 평범한 진리를 선포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의 복음을 가장 단순하고 종합적인 형태로 선교하는데 성공한 ‘대중적 신학자’(folk theologian)였으며, 또한 서방 신학들과 더불어 동방 교부들의 저술들에서도 많은 영향을 받았음을 주장하면서 한걸음 더 나아가 종교개혁적인 신앙과 동방 교부들의 신학을 폭넓게 수용한 탁월한 ‘에큐메니칼 신학자’임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웨슬리의 교회론을 심도 있게 다룬 커크패트릭(Dow Kirkpatrick)의 The Doctrine of the Church(1964)가 있는데 아직 이 저술을 넘어서는 웨슬리의 교회론 연구가 나오지 않고 있다.


1970년대의 저술들로는, 마르틴 슈미트(Martin Schmidt)의 JohnWesley : A Theological Biography(1972)에서 웨슬리는 모라비안 교도들을 통해서 루터적인 신앙의 색채와 함께 실제적인 종교를 강조하는 경건주의 사상에 깊은 영향을 받았기에 에큐메니칼 선교운동을 지향하는 인물이 될 수 있었다는 것과 특히 “교회 안의 작은 교회”운동은 기독자 완전을 추구하는 모임으로 죄의 용서와 구원의 확신과 시험을 이기기 위한 것이 그 운동의 핵심임을 주장하였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