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를 누워서 보다가 땅이 빙글빙글 돌면서 꺼지는 듯한 어지럼증과 구역감을 느껴 뇌졸중을 의심해 곧바로 병원 응급실을 찾아 검사를 받았는데 진단 결과는 ‘이석증(耳石症·otolithiasis)’이었다.
어지럼증은 이처럼 ‘귀’가 원인일 때가 많으며 전체 어지럼증의 40%는 내이(內耳) 전정기관 이상으로 발생하며 10년 새 74% 넘게 증가했다. 이석증은 여성이 더 많이 발생하는데 여성이 남성보다 칼슘 대사가 취약하고, 특히 폐경기 여성은 호르몬 변화로 인해 칼슘 대사 장애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석증은 귓속에서 평형을 유지하게 만드는 돌(otolith·모래알보다 작은 먼지 크기의 칼슘 부스러기)이 ‘난형낭(내이에 있는 평형 기관)’에서 떨어져 나와 몸 회전을 느끼는 3개의 반고리관(앞반고리관, 옆반고리관, 뒷반고리관)으로 들어가 어지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증상은 자세를 바꿀 때 주변이나 본인이 빙글빙글 도는 느낌, 몸이 땅으로 꺼지는 느낌과 구역, 구토 등이다. 증상은 보통 며칠 안에 사라지지만, 고령인은 어지럼증으로 인해 낙상하기도 한다.
보통 아침에 일어나거나 침대에서 몸을 돌릴 때 증상이 많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어지럼증을 많이 호소하지만 심하면 구토·두통이 동반되기도 한다. ‘코끼리 코를 하고 10번 돌고 난 직후의 느낌’이나 ‘롤러코스터를 타며 느낀 극심한 어지럼증’ 등으로 통증을 표현한다. 이석증으로 인한 어지럼증은 보통 1분이면 사라진다. 그러나 세반고리관 안은 점도가 높은 젤 같은 물로 가득 차 있는데 여기에 이석이 달라붙거나 하면 어지럼증이 더 길어질 수 있다.
이석증은 대부분 한쪽으로 누웠을 때 증상이 더 심하며 어지럼증을 덜 느끼는 쪽으로 누워 있는 것이 일시적인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반드시 병원을 찾아 치료를 받아야 한다. 이석증은 대부분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한다. 이석은 나이 들면서 작고 약해지므로 고령일수록, 여성이 남성보다 많이 생긴다. 이석증은 1년 이내 30% 정도가 재발하는데 다시 발병해도 이석을 제자리로 되돌리는 ‘이석정복술’로 대부분 쉽게 치료되므로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이석증은 비타민 D와 관련이 깊어 야외 활동이 줄어드는 겨울과 봄에 많이 발생한다. 또한 머리 외상 후 15%에서, 전정신경염·메니에르병 등 내이(內耳) 질환을 앓았어도 2차적으로 흔히 나타난다.
이석증은 ‘체위성 안진 검사’를 통해 진단한다. 특정 자세에서만 안구가 일정한 방향으로 떨리는 체위성 안진(眼震·눈 떨림) 방향을 통해 이석이 어떤 반고리관에 들어갔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소뇌의 뇌졸중과 감별해야 한다.
이석증이 급성기이거나 심하게 어지러우면 약이나 ‘이석정복술(耳石整復術)’로 이석을 제자리로 돌려놓는 방법으로 치료한다. 이석이 들어간 특정 반고리관 위치에 따라 빼내는 방법이 다르므로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을 받아 시행해야 한다. 이석증은 정확히 진단하면 이석정복술로 빨리 치료할 수 있기에 이석증으로 인한 어지럼증이라면 치료받는 게 좋다.
이석정복술은 반고리관의 내림프액 속에 흘러 다니는 이석 입자를 제자리인 난형낭 쪽으로 되돌려놓는 방법이다. 환자 몸과 머리를 방향과 각도로 같은 방향으로 움직여주는 치료다. 15분 정도로 치료 시간이 짧고 통증이 없지만 시술 도중 어지러울 수 있다. 2~3회 치료하면 90% 정도 치료된다.
이석은 언제든지 반고리관으로 다시 나올 수 있으므로 재발이 잦다. 따라서 △수면을 충분히 취하고 △고개를 심하게 돌리거나 젖히지 말고 △진동이 심한 놀이공원 기구 타기 등을 삼가야 한다.
자가 치료법으로는 ‘이석 습관화 방법’을 사용한다. 우선 앉은 자세에서 고개를 한쪽으로 돌리고 천장을 보면서 한쪽으로 눕는다. 천장을 보면서 1분 정도 기다렸다가 다시 일어나고 반대편을 보고 다시 천장을 보면서 불순물이 가라앉을 때까지 30초에서 1분 기다린 뒤 다시 일어난다. 이를 아침저녁으로 10회 정도 시행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
이석증 진단 후 어지럼증이 생긴다고 무조건 재발한다고 속단하면 안 된다. △몸을 가눌 수 없을 정도로 심한 어지럼증이 몇 십 분 이상 계속되거나 △말이 어눌하거나 △물체가 둘로 보이거나 △팔다리를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거나 △뇌졸중을 앓은 적이 있거나 고혈압·당뇨병 등 기저 질환자라면 뇌혈관 질환 가능성을 생각해 응급실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한다.